고양이 눈병 종류 증상 원인 치료

우리집 고양이의 가장 큰 매력 포인트는 단연 눈인데요. 그런데 어느 날부터 눈물 자국이 보이고 눈곱이 끼이고 눈이 충혈되거나 부어올라 집사의 마음을 애태울 때가 있는데요. 그럼 고양이 눈병 종류는 어떤 것이 있고,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지,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께요.

 

개요

고양이의 눈은 아주 특별한데요. 어두운 곳에서도 사냥을 잘 할 수 있도록 시각이 독특하게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의 시야각은 180도가 넘어서 좌우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때문에 먹잇감을 발견하기 쉽고 천적으로부터 피신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요. 사람으로 치면 원시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망막 뒤에 반사판과 같은 세포층이 있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 눈이 빛나 보이는데요. 마치 거울처럼 작용되기 때문에 망막에 비취진 빛을 반사시켜서 더 많은 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둠 속에서도 사람보다 7배나 더 잘 볼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특별한 고양이의 눈을 세세하게 관리 해주지 못하면 질병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종류

1. 결막염

고양이의 눈 결막염은 결막(눈의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조직)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고양이 눈병 증상 중 가장 흔한 질환이죠. 결막은 점막 조직으로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증 등으로 문제가 생기면 충혈이 되고 또 붓게 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증상, 원인 및 종류에 따라 개별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1) 증상

고양이의 눈에 결막염이 생기면 눈이 붉어지거나 부어오르고 두드러기 같은 것도 보이며 눈꺼풀이 굳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가려워서 긁게 됩니다.

(2) 원인

고양이의 눈 결막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환경이나 알레르기성 식품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허피스 바이러스 같은 호흡기 질환에 의해 결막염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세균 또는 기타 병원체로 인한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학 제품이나 진드기, 벼룩 물림 등의 외부 자극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눈 전용 세정제로 눈 주위 눈곱이나 분비물을 닦아내고 안약을 투여합니다. 그리고 원인에 맞게 약을 처방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의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고 세균성 감염일 경우 항생제가 처방 됩니다.

 

2. 각막염

고양이의 각막염은 각막(눈의 투명한 외피)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각막은 매우 투명한 피부 조직입니다. 여기에는 혈관이 없기 때문에 염증이 생길 경우 금방 혼탁해지고 시력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각막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증상, 원인 및 종류에 따라 개별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1) 증상

각막염이 생기면 눈이 뿌옇게 변하며 붉어지거나 부어오르고 눈꺼풀이 굳어지며 가려움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2) 원인

고양이의 각막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화학적 물질이나 진드기 같은 외부 자극 물질로 인해 각막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허피스 바이러스는 각막염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외부 충격, 긁힘 등으로 인해 각막에 손상을 입으면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치료

고양이의 각막염 치료는 먼저 깨끗한 천이나 솜으로 눈 주위를 닦아 냅니다. 그리고 항생제와 항염증제가 함유된 안약을 처방합니다. 항상 고양이가 기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영양제를 복용하고 식욕을 늘려서 기력을 활기차게 만드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3. 눈꺼풀염

다묘 가정의 경우, 주로 고양이끼리 잦은 다툼으로 인해 눈꺼풀이 다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 곧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가려움 등으로 긁게 되고 결국 감염증에 걸리게 됩니다.

(1) 증상

눈꺼풀염에 걸리게 되면 심하게 가렵고 따라서 고양이는 눈 부위를 자주 긁게 되고 눈물 자국이 털에 선명하게 되고 심지어 눈 분비물과 함께 고름도 보이게 됩니다.

(2) 원인

주로 고양이끼리의 다툼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모낭충이나 링웜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다른 눈병과 마찬가지로 외부 자극물에 의해서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진드기나 벼룩같은 기생충에 의한 물림에 의해서도 생깁니다.

(3) 치료

눈 전용 오일을 사용해 눈을 보호하고 염증 부위를 처방약으로 치료합니다. 그리고 항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 눈물자국

(1) 증상

사람과 마찬가지로 고양이도 눈 주변에 과도하게 분비물(눈물)이 흘러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털을 물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은 유루증과 같이 나타나 만성적인 자극과 감염증이 발생합니다.

(2) 원인

고양이도 사람처럼 슬프면 눈물을 흘린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슬프다고 눈물을 흘리지는 않습니다. 다른 원인에 의해 눈물이 분비됩니다. 고양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은 감염증이나 상처에 의한 자극으로 눈물이 분비됩니다. 특히 납작한 얼굴을 가진 품종의 고양이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페르시안과 히말라얀 고양이에게서 많이 발견됩니다. 또한 짧은 코와 입을 가지고 눈이 크고 튀어 나온 품종에게서도 많이 발견됩니다.

(3) 치료

만성적인 감염이라면 항생제로 치료해야 합니다.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약물은 눈물로 인해 털을 변색시키는 눈물 성분과 결합해서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대신에 이 약물의 경우 변색을 완화시키는 것에 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고양이 얼굴은 계속 해서 젖어 있을 수 있습니다. 미관을 위해 눈 주변 털을 미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고양이 눈병

 

5. 백내장

고양이의 눈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수정체는 빛을 조절하여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고양이에게 노화가 시작되면 자연적으로 따라오는 경우가 많으며 당뇨병 등의 성인병으로 인해서도 찾아 오게 됩니다.

(1) 증상

고양이의 눈 백내장 증상은 주로 눈동자가 탁해 보이며 고양이는 시야가 크게 흐려집니다. 또한 동공 크기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시력도 저하됩니다.

(2) 원인

고양이의 눈 백내장은 노화 외에도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일부 종류의 고양이는 유전이 원인이 됩니다. 둘째 외부 충격이나 다툼에 의한 상처 등으로 인해 각막 내부 구조가 손상되는 경우도 주요한 원인입니다. 셋째 각막 내부에 염증 혹은 감염도 원인이 됩니다. 끝으로 노화 및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에 의해서도 백내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치료

고양이의 눈 백내장 치료는 원인과 심각성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시력을 손상 시킬 때만 문제가 됩니다. 먼저 수의사가 처방한 안약은 증상을 완화시켜 주고 스테로이드나 항염증제 등을 처방합니다. 그리고 일부 심각한 경우나 효과적인 약물 치료가 되지 않을 때에는 인공수정체 교체 등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6. 녹내장

고양이의 눈 녹내장은 안구 내부 안압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 원인 및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상

고양이의 녹내장은 탁한 시야, 동공 크기 변화, 시력 저하, 안구 부종 및 분비물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급성 녹내장의 경우 눈물이 흘러내리거나 눈을 깜빡거리고 눈 흰자위가 빨갛게 변하며 아픈 쪽 눈 동공이 다른 쪽 동공보다 조금 더 커져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망막이 손상되며 수정체 이탈도 확연히 보입니다.

(2) 원인

고양이의 녹내장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먼저 일부 종류의 고양이는 유전이 원인입니다. 그리고 노령묘는 안압 상승 및 녹내장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구 내부 염증 혹은 감염으로 인해 액체 배출이 안 될 경우 녹내장으로 쉽게 진행되고 또한 눈 안의 종양 등에 의해서도 가끔 발견되기도 합니다. 끝으로 정상적인 수정체가 아닌 이탈 수정체는 눈 안의 수분 흐름 방해로 인해 녹내장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3) 치료

녹내장 치료는 수의사가 처방한 안약으로 안압을 조절합니다. 일부 심각한 경우나 폐쇄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7. 신생기 안염

생후 2달이 안 된 아기 고양이에게서 주로 보이게 됩니다.

(1) 증상

눈에 염증이 있고 분비물이 눈곱처럼 덕지덕지 붙어 있으며 눈꺼풀에 달라 붙어서 눈을 뜨지 못해 앞을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원인

주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에 의한 감염증이나 세균성 감염증 등으로 인한 눈 분비물에 의해 발생합니다.

(3) 치료

먼저 눈 분비물을 없애주고 눈을 정상적으로 뜨게 만든 후, 항생제와 항염증제가 함유된 안약을 처방합니다. 깨끗한 천으로 눈 주위를 닦고 기력회복을 위해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8. 3안검 문제

안검이라 함은 눈꺼풀을 말합니다. 사람이나 보통의 동물은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 2종류만 있으나 고양이의 경우 세번째 눈꺼풀이 존재합니다. 이를 3안검이라 합니다. 3안검의 경우 평상시에는 잘 안 보이나, 눈병이 생기거나 손상이 있을 때 비로소 드러나게 됩니다. 어떤 고양이는 휴식을 취할 때 3안검이 잠시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외에는 대부분 눈 감염증이나 출혈, 종양 등이 있을 경우에 드러나게 됩니다.

(1) 키-게스켈 증후군(Key-Gaskell Syndrome)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길 경우 3안검이 돌출됩니다. 동공확장이나 변비 같은 증상도 같이 나타납니다. 치료가 까다롭고 오래 걸리며 흡인성 폐렴 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아너 증후군(Horner’s Syndrome)

3안검이 돌출되고 동공이 작아지며 안구가 함몰되는 증상이 생깁니다. 목부위의 신경에 손상이 오거나 중이염 등에 의한 신경 문제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나 시간이 경과할 경우 자연적으로 낫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호이 증후군(Haw Syndrome)

원인은 불명확하나 일시적으로 3안검이 돌출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몇 달 후 자연적으로 돌출이 사라집니다.

(4) 체리 아이(Cherry Eye)

3안검의 연골이 접히면서 눈물샘이 돌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 버마고양이에게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시력 방해와 같은 문제가 생기고 각막 궤양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를 통해서 눈물샘의 돌출을 교정합니다.

 

 

이상으로 고양이 눈병 종류 증상 원인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